심방조기박동과 심실조기박동은 모두 부정맥의 일종입니다. 두 박동의 정의, 증상, 원인, 치료 방법을 비교하여 심장 건강 정보를 쉽게 이해해보세요. [출처; 조선일보의학건강방송]
📌 목차
💓 심방조기박동(PAC)과 심실조기박동(PVC) 정의
심방조기박동(Premature Atrial Contraction, PAC)은 심장의 윗부분(심방)에서 정상보다 일찍 전기 신호가 발생해 추가적인 박동이 일어나는 현상입니다.
심실조기박동(Premature Ventricular Contraction, PVC)은 심장의 아랫부분(심실)에서 발생하는 조기 박동으로, 강하게 뛰는 느낌 또는 멎는 듯한 느낌을 줄 수 있습니다.
두 경우 모두 부정맥의 일종이며, 건강한 사람에게도 발생할 수 있지만 반복되면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 주요 증상 비교
심방조기박동 PAC 증상은 대부분 무증상이지만, 일부는 가슴 두근거림이나 불규칙한 심장 박동을 느낄 수 있습니다.
심실조기박동 PVC 증상은 좀 더 자극적으로 느껴지며, 가슴이 쿵 하고 치는 느낌, 어지럼증, 순간적인 무기력감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원인과 유발 요인
PAC은 스트레스, 카페인, 흡연, 수면 부족 등의 자극에 의해 흔히 발생합니다.
PVC는 위와 같은 원인 외에도 심근경색, 심장근육 질환(심근증)과 연관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특히 잦은 PVC는 심장 기능 저하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정확한 진단이 중요합니다.
![오일영의 즐거운 건강 [출처:중앙일보]](https://blog.kakaocdn.net/dna/bIo0Kn/btsNL3nysLV/AAAAAAAAAAAAAAAAAAAAAC6lgA7uFOlWa2UbgawNLQKxcP-yofESJJQ3pbJ8ssxj/img.png?credential=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expires=1756652399&allow_ip=&allow_referer=&signature=IWJKZI%2FOoP3sCgAabqquEiGqmkM%3D)
💊 치료 방법 및 예후
대부분의 PAC/PVC는 치료가 필요 없으며, 생활습관 개선으로 증상이 완화될 수 있습니다.
반복적이거나 증상이 심한 경우 항부정맥제(Antiarrhythmic drug) 또는 도자절제술(카테터 시술, Catheter ablation)이 고려됩니다.
PVC의 경우, 기저 질환이 있는 경우 심장초음파, 홀터모니터(24시간 심전도) 등의 정밀검사가 필요합니다.
🩺 전문가 상담 필요성과 마무리
심방조기박동과 심실조기박동은 일시적인 현상일 수 있으나, 반복된다면 심장 질환의 신호일 수 있습니다.
스스로 판단하기보다는 심장내과 전문의의 진료를 통해 정확한 원인과 상태를 확인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 건강은 예방이 최선입니다. 오늘도 건강한 심장 박동과 함께 활기찬 하루 보내세요!
※ 본 글은 의학적 진단이나 치료를 대체하지 않으며, 증상이 있다면 반드시 전문의 상담을 받으시기 바랍니다.
🔝 맨 위로 이동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제공하는 심장내과 병원찾기
'암뇌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내 사망 원인 2위! 심부전 정의, 4대 증상, 원인, 치료까지 총정리 (0) | 2025.05.07 |
---|---|
부정맥 4대 증상, 원인 및 치료, 심장이 보내는 경고! (0) | 2025.05.06 |
가슴 통증, 금방 사라져도 방심 금물! 협심증의 위험 신호를 알아보자 (1) | 2025.05.01 |